구제역 방역…대량 살처분 불가피한가_저렴한 빙고 경품_krvip

구제역 방역…대량 살처분 불가피한가_카지노 카니발은 유명해요_krvip

"현재까지 가장 효과적인 대응책" 경북에서 발생한 구제역 사태가 13일로 보름째를 맞는 가운데 확산방지를 위해 시행 중인 살처분 및 매몰 방식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달 29일 경북 안동에서 구제역이 처음 발생한 이후 가까운 시ㆍ군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살처분 방식이 적극적으로 도입됐기 때문이다. 경북도는 구제역 발생지로부터 소는 반경 500m 이내, 돼지는 반경 3㎞ 이내에 기르는 모든 우제류(소, 돼지, 사슴 등 발굽 두개인 동물) 가축을 살처분키로 하고 강력히 시행 중이다. 동물 종류에 따라 살처분 범위가 다른 것은 돼지의 바이러스 전파력이 소보다 최대 3천배에 달하기 때문이다. 당국은 도내 650여 농가 12만1천여마리의 가축을 살처분키로 하고 지금까지 610여 농가 11만9천여마리의 조치를 마쳐 추진율 98.6%를 기록했다. 이에 대해 구제역 피해 축산농민들은 자식처럼 기르던 가축을 살처분하는 아픔과 허탈감을 호소하면서 살처분에 따른 재산상 피해를 제대로 보상해달라고 요구했다. 농민들은 "당국이 가축 살처분 보상금을 시가로 지급키로 했으나 구제역 사태가 끝나고 다시 송아지나 새끼 돼지를 입식해 시장에 내다팔려면 몇년이 걸릴지 알 수 없어 생계가 막막하다"고 주장했다. 일각에서는 구제역 대처방안으로 예방백신 접종을 입에 올리기도 한다. 그러나 경북도 구제역방역대책본부는 "최근 구제역 예방백신 접종이 일부에서 논의되나 살처분키로 한 정부와 방역당국 입장은 분명하다"고 밝혔다. 대책본부는 "현재 구제역 상시발생국이 아닌 청정국이나 선진국에서 구제역 백신접종정책을 펼치는 것은 한 곳도 없다"며 "백신접종은 전국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거나 질병이 국내에 정착하는 단계에서 시행하는 최후의 처방"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백신접종 가축의 사후관리가 제대로 안 될 경우 백신을 맞은 가축이 오히려 구제역을 퍼뜨릴 수 있으며 혈청검사시 자연감염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백신접종에 의한 것인지 모호해진다는 것이다. 비용면에서도 전국의 모든 우제류를 해마다 예방접종한다면 첫해 1천560억원, 다음해 780억원 정도가 들어 살처분 비용을 훨씬 웃돈다. 지금까지 국내 구제역 살처분 비용은 2000년 71억원, 2002년 531억원, 올해는 2차례에 걸쳐 각기 91억원과 710억원이 들었다. 살처분할 때는 마지막 구제역 발생 이후 3개월 지나면 청정국 지위를 획득할 수 있지만 백신을 접종하면 1년이 지나서야 같은 지위를 획득하는 절차상의 문제점도 있다. 도 구제역대책본부 관계자는 "구제역 발생시 살처분은 효과면에서 가장 확실하고 경제적인 대응방식이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도 채택하는 정책"이라고 말했다.